'택시운전사' 영화 리뷰 | 숨은 영웅이 만든 세상
영화 '택시운전사'를 보고 바로 글을 쓰지 못했던 것은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는 얘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야 이야기를 푸는 영화가 '택시운전사'다. 혁명을 위해 앞에서 목숨을 걸고 모든 것을 불태웠던 이들이 있었기도 하지만, 우리가 주목하고 기억해야하는 것은 묵묵하게 옳은 것을 지켜냈던 들어나지 않은 영웅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 영화가 바로 '택시운전사'다. 1980년 5월, 서울. “광주? 돈 워리, 돈 워리! 아이 베스트 드라이버” 택시운전사 만섭(송강호 분)은 외국손님을 태우고 광주에 갔다 통금 전에 돌아오면 밀린 월세를 갚을 수 있는 거금 10만원을 준다는 말에 독일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 분)를 태우고 영문도 모른 채 길을 나선다. 만섭은 광주로 들어가는 길에 검문을 당하지만 어떻게든 택시비를 받아야 하기에 검문을 피해 광주로 들어서게 된다. 그런데... “모르겄어라, 우덜도 우덜한테 와 그라는지…” 광주 사람들의 억욱한 상황에 만섭은 발길을 돌리려고 하지만, 피터는 대학생 재식(류준열 분)과 황기사(유해진 분)의 도움 속에 광주사태에 대한 현장 촬영을 시작한다. 그러나 상황은 점점 심각해지고 만섭은 집에 혼자 있을 딸 걱정에 초초하지만, 광주에서 일어난 일에 가담하게 되어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래서 몰래 혼자 피하고자 하지만 쉽게 피해지지 않는다. 결국, 촬영을 마친 피터를 데리고 광주사건을 알리기 위해 서울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 때, 만섭은 피터와 다시 검문에 걸린다. 서울택시를 잡으라는 위에서의 명령이 있기에 만섭과 피터는 사업차 광주에 왔다가 가는 것처럼 꾸미면서 서울 택시 번호판 대신 광주 택시 번호판으로 바꾸고 트렁크에 촬영도구 등을 숨기고 검문을 피하고자 했다. 그런데, 검문하던 군인이 트렁크를 검색하다가 서울 번호판을 발견하게 된다. 아찔한 그 순간은 영화를 보는 모든 이들이 긴장하던 순간이 아닐까? 그런데, 그 ...
댓글
댓글 쓰기